-「한인애국단 편지 및 봉투」등 5건 문화재 등록 예고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목포 경동성당」, 「전북대학교 구 본관」,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총 4건을 문화재로 등록하였다.
또한, 「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총 5건을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된 문화재는 「목포 경동성당」, 「전북대학교 구 본관」,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등 총 4건이다.
등록문화재 제764호 「목포 경동성당」은 오늘날 신안군 관할 내 도서지방의 선교활동을 위해 아일랜드의 ‘성 골롬반외방선교회’의 지원을 받아 1954년 건립된 성당으로 목포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성당 건물이다. 목포 해안의 항구 중심 지역에 있으며, 웅장한 외관형태를 가진 석조 건물로서 지역사회에서 당시 원도심 지역을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한곳으로 평가되는 등 종교사와 지역사 측면에서 보존 가치가 높다.
등록문화재 제765호 「전북대학교 구 본관」은 전북대학교의 상징적인 건물로
중앙 출입구 포치(Porch)의 돌기둥을 중심으로 입면의 대칭성을 강조하였으며, 고전주의 건축에서의 외관과 장식을 단순화,
간략화 하는 등 모더니즘의 건축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 포치(Porch): 지붕이 돌출되어 지어진 건물 출입구나 현관
등록문화재 제766호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은 대학 강의실의 실용적인 목적이 강조된 건물로 모더니즘 건축 특징이 잘 표현되어 있다. 특히, 중앙 출입구 포치와 파사드(Facade, 건축물 외벽)의 수직·수평적 분할, 과감한 블록처리 등 희소성 높은 조형적 요소를 지녀 보존 가치가 높다.
등록문화재 제767호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은 전체적인 입면 구성 방식 등에서 석조건축의 특징이 잘 표현되어있으며, 또한, 최초 중앙도서관으로 건립됨에 따라 수장고 등 공간구성이 기능에 맞게 계획‧시공되어 보존 가치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목포 경동성당」, 「전북대학교 구 본관」,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등 4건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한인애국단 편지 및 봉투」는 1930년대 초 독립운동이 침체되자 김구가 일본수뇌의 암살을 목적으로 비밀리에 조직한 한인애국단 단원들의 편지와 봉투다.
해당 유물은 ① 김영구가 곽윤에게 보낸 편지와 봉투, ② 최흥식이 곽윤에게 보낸 편지와 봉투, ③ 이덕주가 김정애에게 보낸 편지와 봉투로 각 2점씩 총 6점으로 상해에 있는 김구와의 연락, 거사준비 등 단원들의 의거 추진 실황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중 ‘김영구가 곽윤에게 보낸 편지와 봉투’에서 ’김영구‘는 필적과 편지 내용의 정황상 ’유상근‘으로 추정되며, ’곽윤‘은 ’김구‘의 변성명(성과 이름을 달리 고침)이다. 또한, ’이덕주가 김정애에게 보낸 편지 및 봉투‘에서 ’김정애‘는 ’김구‘ 또는 관련자로 추정된다. 한인애국단의 활동은 독립운동의 한 전환을 이룬 역할을 하였고, 비밀스럽게 전개되었기 때문에 독립운동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희소성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한인애국단원 이력서 및 봉투」는 김구가 일본수뇌의 암살을 목적으로 비밀리에 조직한 한인애국단 소속의 유상근, 이덕주, 유진식의 이력서와 봉투로, 이력서에는 이들의 출생지, 이름, 학력, 경력 등 상세 신원 내역이 담겨 있다. 해당 유물은 한인애국단에 입단하여 대일 의열투쟁 거사의 최일선 요원으로 나섰다가 체포된 청년 독립투사들의 신상을 새롭게 밝혀주는 자료로서 독립운동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비밀조직 특성상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희소성의 가치가 매우 크다.
「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은 독립운동가 이교재(李敎載, 1887~1933)가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를 방문하여 국내에 들여온 문건으로 ‘이교재 위임장’은 이교재를 경상남북도 상주(常駐)대표로 임명한다는 문서다. ‘상해격발’은 이중광을 국내와 일본의 특파원으로 임명한다는 내용과 함께 특파원의 임무와 임시정부의 사명을 국내외 우리 동포에게 알리고 협조하는 문서다. 해당유물은 1930년 전후 임시정부가 국내와 꾸준히 연결하면서 조직과 자금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던 구체적인 증거들이다.
「문영박 추조 및 문원만 특발」은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31년에 경북 달성에 거주하다 사망한 문영박(文永樸, 1880~1930)의 유족에게 조의를 표명한 추조(追弔)와 문영박의 아들인 문원만(文元萬)에게 활동을 위한 지원금을 요청한 문서인 특발(特發)로, 독립 운동가 이교재(李敎載, 1887~1933)가 임시정부로부터 유족에게 전달하기 위해 수령해온 문건들이다. 해당 유물은 당시 임시정부가 필요한 상비금을 어떻게 마련하였는지, 또 국내의 유지와는 어떻게 접선하였는지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 특발, 추조, 편지 및 소봉투」는 독립운동가 이교재(李敎載, 1887~1933)가 대한민국임시정부로부터 수령해온 문건들로, 임시정부 활동을 위한 지원금을 요청한 내용과 사망한 독립 운동가에게 조의를 표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해당 유물들은 1931년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국제정세의 대변동으로 독립운동 재흥의 호기가 왔다고 판단한 임시정부가 재정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어떻게 계획하였는지와 그 실행방법을 추정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번에 등록 예고한「한인애국단원 편지 및 봉투」,「이교재 위임장 및 상해격발」등 5건은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