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카 고키: 다치기 쉬운 역사들 (로드 무비)

You are currently viewing 다나카 고키: 다치기 쉬운 역사들 (로드 무비)
  • Post category:전시

2020.10.30-12.20
아트선재센터 2층

아트선재센터는 10월 30일부터 12월 20일까지 다나카 고키의 국내 첫 개인전 «다치기 쉬운 역사들 (로드 무비)»를 개최한다. 이 전시는 2018년에 제작된 전시와 동명의 영상 작업 ‹다치기 쉬운 역사들 (로드 무비)›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영상 내부의 구성을 따라 다섯 개의 챕터와 ‘에필로그,’ ‘부록’으로 나뉜 이 전시는 챕터 별로 나뉜 전시 공간을 따라 각각의 장면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감상할 수 있다. 영상의 주요 내용은 재일 한국/조선인 3세인 우희와 일본계 스위스 사람 크리스티앙 두 사람의 여정과 대화이다. 이 작업을 계기로 도쿄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재일 한국/조선인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와 혐한 시위가 일어난 곳, 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 조선인이 핍박을 받았던 곳과 같이 차별의 아픈 기억이 배어 있는 장소로 향한다. 두 주인공이 만나 대화를 통해 서로에 대해 이해해 가기 시작하는 이 작업은 영화 <비포 선라이즈>(1995)에서 모티브를 가져왔지만, 여정에는 두 사람뿐 아니라 재일 한국/조선인의 삶과 역사에 대한 사회학자의 강의와 증언들을 포함하고 있고, 작가인 다나카 고키도 대화에 합류한다. 각 개인의 미시적인 삶을 둘러싼 이야기와 역사 및 사회 정치적인 상황의 증언 등이 얽혀 있는 이 작업에는 정체성의 문제와 갈등의 복합적 양상들이 드러나며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는 서로에 대한 이해에 다다를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진다.
 
비디오, 사진, 장소 특정적 설치와 상황에의 개입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서 작업하는 고키 다나카는 매일의 단순한 행위에 잠재하는 복합적 맥락을 드러내고 시각화한다. 그는 초기 작업에서 일상적인 사물들을 가지고 매일의 반복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실험하고 기록했다. 이후 작가는 여러 참여자들에게 비일상적인 공동의 임무를 주고, 이 같은 상황에 대처하는 사람들의 무의식적 행동들을 기록한다. 다섯 명의 도공이 하나의 도자기를 만들거나 다섯 명의 피아니스트가 동시에 연주를 하는 등 작은 단위 사회와 임시적 공동체 안에서 드러나는 단체의 역동성을 드러낸다. 3/11 재난 이후, 다나카 고키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성을 작업의 방법론으로 차용하여, 이를 “공동 행위”라고 명하고, 분명한 목적이 없는 여러 시도들을 행한다.
 
팬데믹으로 인해 국가 간의 왕래가 멈추고, 인종 차별과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는 오늘, 작가가 지속적으로 던지고 있는 질문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How to live together?)’는 점점 더 어렵고도 절실한 것이 되었다. 다나카 고키는 작가로서 예술의 실천이 현실에 대한 단순한 상황 진단이나 결론을 내리는 대신 매우 구체적인 상황을 기반으로 현실의 복합성을 드러내고 이로서 사회가 당면한 문제에서 벗어날 다른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지를 탐색하고 있다.
 
오는 11월 말, 다나카 고키의 글을 묶은 단행본을 아트선재센터와 일본 출판사가 공동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작가 소개
다나카 고키(1975년, 일본 도치기 생)는 교토에서 거주하고 작업한다. 다나카는 영상, 사진, 설치, 참여적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매체와 실천을 통해 가장 일상적인 행동에 담긴 다양한 맥락을 가시화하고 드러낸다. 그의 작품은 가장 최근 팔레드도쿄(2020), 베를린국제영화제(2020), 아이치트리엔날레(2019), 로테르담국제영화제(2019), 부산국제영화제(2019)부터 미그로스미술관(2018), 쿤스트하우스 그라츠(2017), 뮌스터조각프로젝트(2017), 제57회 베니스비엔날레(2017), 베를린 도이치방크 쿤스트할(2015), 아인트호벤 반아베미술관(2014)까지, 세계 각지에서 소개된 바 있다. 다나카는 2013년 제55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 일본관 대표작가로 초청받았으며 2015년에 도이치방크 올해의 작가상을 수여받았다.
 
기획 김해주(아트선재센터 부관장)
전시 진행 전효경(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
주최 아트선재센터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원출처 : http://www.artsonje.org/vulnerable-hi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