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어보 과학적 분석』보고서 3권 발간

You are currently viewing 국립고궁박물관, 『어보 과학적 분석』보고서 3권 발간
  • Post category:

– 박물관 소장 어보 322과(금보 155과, 옥보 167과) 분석 결과 수록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어보 322과의 분석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어보 과학적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어보는 의례의 산물로 제작된 인장(도장)이자 조선 시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약 500년에 걸쳐 제작된 대표 왕실문화재이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왕과 왕실 전체의 권위를 상징하는 역사성과 진귀함으로 2017년에는 ‘조선왕조 어보‧어책’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어보의 과학적인 분석자료를 확보하고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총 3개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금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자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옥보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과 공동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번 분석은 어보의 구성 재료와 제작기법에 중점을 두어 비파괴 분석방법으로 표면을 분석하였다.

  어보 분석 결과가 종합·정리된 이번 3편의 보고서에는  ▲ 1권에는 박물관 소장 어보의 과학적 분석 개요와 금보, 옥보의 제작기법과 재질, 특징 등 연구 결과를 정리한 4편의 논고가 담겼고, ▲ 2권에는 금보 분석 결과, ▲ 3권에는 옥보 분석 결과가 수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 금보는 구리-아연 합금 등에 아말감 기법으로 도금하여 제작하였으며, 18세기 이후 제작된 금보는 아연의 함량이 높아진다는 점, ▲ 옥보는 대다수 사문암질암으로 제작되었으며, 19세기 이후에는 대리암질암, 백운암질암이 일부 옥보에 사용되었다는 점, ▲ 보수(寶綬)는 대다수 비단(실크, silk)으로 제작되었지만, 1740년과 1900년대 이후 제작된 일부 보수에서는 인조 섬유(레이온, rayon)가 확인되었다.
 * 보수(寶綬): 어보에 달린 붉은 끈으로 장식과 관리 목적으로 제작됨
 * 아말감 기법: 수은에 금을 녹인 아말감을 금속 표면에 칠한 후 수은을 증발시켜 표면에 도금하는 방법

  국내 최초로 진행된 어보의 과학적 분석 연구 결과를 수록한 이번 보고서는 앞으로 어보 환수나 유사 유물의 시기 판별에 기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권의 보고서는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계획이며,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http://www.gogung.go.kr, 보고서 원문서비스)에도 공개하여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앞으로도 소장 유물의 과학적 분석을 계속해서 진행하여, 국민에게 더 다양한 왕실문화재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원출처 :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2503&sectionId=b_sec_1&pageIndex=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