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 이하 ‘국토부’)는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 1호)’이 3월 22일(월) 15시 7분경(현지 기준 3월 22일(월) 11시 7분경)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고 밝혔다.
국토위성은 발사 후 약 64분에 고도 약 484km 근지점(원지점 508km)에서 소유즈 2.1a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되었고, 이어 약 38분 후(발사 후 약 102분 뒤)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Svalbard)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대행 박정주, 이하 ‘항우연’)은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국토위성의 본체 시스템 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는 최초의 타원궤도(근지점(484km), 원지점(508km)을 형성)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난 2015년 개발에 착수하여 약 6년간의 노력 끝에 발사에 성공한 국토위성은 과기정통부와 국토부의 지원을 받아 항우연 주관으로 국내 독자 개발한 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으로, 고도 497.8km의 궤도에서 6개월간의 초기운영과정을 거쳐 10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표준영상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는정밀지상관측용(흑백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하여 500kg급 표준형 위성 표준본체(플랫폼)를 확보하고,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kg급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중형위성 3기를 국산화하여 개발하는 사업이다.
* 1· 2호(국토위성) : (주관부처)과기정통부, (주활용부처)국토부
이번, 1호기 개발과정에서 항우연과 국내 산업체간 공동설계팀을 운영하여 성공적으로 기술이전을 하였고, 2호기부터는 설계부터 제작까지 산업체가 총괄하여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 2단계(‘18년착수)에서는 다양한 탑재체를 장착할 수 있는 표준형 위성 플랫폼을 활용하여 3기 위성*을 산업체 주도로 개발하고 있다.
* 3호 우주과학·기술검증(과기정통부),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과기정통부, 농진청, 산림청),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관측(과기정통부, 환경부)
특히,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 1호)은 기존 다목적실용위성 3A호(‘15.3월 발사)와 유사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무게는 절반으로 경량화(약 1,100kg (다목적실용위성3A호) → 약540kg(차세대중형위성1호))하였으며,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을 통하여 개발함으로써 높은 국산화*를 달성하였다.
* 총 172개 핵심기술 및 품목 중 157개 국산화(91.3%) : 시스템 및 본체(86.3%), 탑재체(98.6%)
향후, 주활용부처인 국토교통부는 항우연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밀지상관측영상을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설치된 국토위성센터에서 고품질(위치정확도 1~2m급)로 가공한 정밀정사영상*을 수요기관에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국토위성이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공공·민간의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위성영상을 높이차나 기울어짐 등 지형기복에 의한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고 모든 물체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의 모습으로 변환한 영상
또한, 국토위성을 통해 얻어지는 정밀지상관측영상은 한국판 뉴딜의 핵심과제인 디지털 트윈* 국토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스마트시티·자율주행·드론 등 신산업 지원과 재난 안전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융·복합 산업을 창출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실 공간정보를 가상세계에 구현하고 모의 실험하여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
국토교통부 남영우 국토정보정책관은 “국토위성의 본격적인 운영과 영상 제공에 필요한 사항을 차질 없이 준비하여, 국토위성 영상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출처 :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5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