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4분기 신규 PF 취급액은 17.1조원으로 ’24.2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으로 15조원을 상회하는 등 PF 시장 내 신규 자금 공급이 지속되는 모습
* PF신규취급액(조원):(‘23.4Q)12.8→(’24.1Q) 9.0→(2Q)15.1→(3Q)16.4 →(4Q)17.1
ㅇ’24년말 금융권 PF대출 연체율*은 3.42%으로 전분기 대비 △0.08%p 하락하여 ’24.6월 이후 하락세를 유지하는 등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음
* PF대출 연체율(%):(‘23말)2.70→(‘24.3말)3.55→(6말)3.56→(9말)3.51→(12말)3.42
◈ ‘24.12월말 전체 PF 사업장(202.3조원)에 대한 사업성 평가 결과, 유의(C)·부실우려(D) 여신은 전분기 대비 규모(22.9조원 → 19.2조원)와 비중(10.9% → 9.5%)이 모두 감소
ㅇ ’24.12월말 기준, 유의(C)·부실우려(D) 사업장(20.9조원, ’24.6월말 기준) 중 4.5조원을 정리하였고, 2.0조원의 재구조화를 완료
– 신속한 정리·재구조화를 위해 정보공개 플랫폼의 매물정보를 확대하고 맞춤형 매각설명회를 추가 개최(3.26일)할 계획
– 재구조화·정리를 완료한 여신 6.5조원 中 주거 사업장 여신은 3.7조원으로 향후 약 4.7만 호의 주택공급 촉진 효과가 기대
* 잔여 사업장이 정리되는 경우 추가로 약 9.2만 호의 주택공급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
◈ 「부동산 PF 제도개선방안(‘24.11월 발표)」의 추진상황을 점검
➀ (보증료 우대) PF 사업의 자기자본비율 상향을 위해 HF와 HUG는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사업장에 대해 사업자보증 보증료를 할인할 예정(3월말)
➁ (책임준공 개선) PF 대출계약의 연장사유를 대폭 확대하고, 기한 도과일수에 따라 채무인수 비율을 차등화 하는 등 책임준공 개선방안 마련
➂ (건전성제도 개선) 규제 도입에 따른 영향 분석과 업계와의 협의 등을 거쳐 ‘25.상반기중 세부방안 확정할 계획이며, 일정기간 유예후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시행시기 이후의 PF 대출 등부터 적용할 예정
원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