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전 시 명 : 특별전 “우리 살던 고향은-세종시 2005 그리고 2015”
ㅇ 기 간 : 2016년 7월 27일(수)~10월 17일(월)(87일간)
ㅇ 장 소 :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
ㅇ 주 최 : 세종특별자치시, 대통령기록관, 국립민속박물관
ㅇ 후 원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ㅇ 전시구성
– 제1부 : 고향(故鄕)-대대로 살아오다
– 제2부 : 이향(離鄕)-흩어지다
– 제3부 : 회향(回鄕)-다시 모이다
ㅇ 주요 전시물 : 갈운리 할머니미륵, 터주단지․성주․삼신전대,『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백지계획과 모형, 세종시 출토 명기(明器)와 묘지(墓誌), 고향을 상징하는 물건들(쌀바가지, 마을 사진, 가족사진, 상량문) 등 300여 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은 2016년 ‘세종민속문화의 해’를 맞이하여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와 대통령기록관(관장 이재준)과 함께 세종특별자치시 개발 10년의 생활문화 변화를 다룬 “우리 살던 고향은-세종시 2005 그리고 2015” 특별전을 2016년 7월 27일(수)부터 10월 17일(월)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05년 시행한 민속조사를 통해 수집하거나 기증받은 자료를 중심으로 마을주민들이 소중히 보관하고 있는 고향의 물건 등 세종시의 전통과 현재를 보여주는 유물 300여 점을 전시하여 개발 10여 년간의 이야기를 선보인다.
2005년, 2015년 10년간 2회의 학술조사 성과를 전시로 연결
이번 전시는 2005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친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조사 성과를 토대로 마련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2005년에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예정지역인 33개 마을에 상주하면서 민속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이듬해에 11권의 조사보고서로 발간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마을을 떠나 여러 곳에 흩어져 사는 반곡리 마을주민을 추적 조사하여 이들의 생활환경 변화와 공동체문화의 흔적을 기록·수집하였다.
이번 전시는 2005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친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조사 성과를 토대로 마련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2005년에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예정지역인 33개 마을에 상주하면서 민속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이듬해에 11권의 조사보고서로 발간하였다. 또한 2015년에는 마을을 떠나 여러 곳에 흩어져 사는 반곡리 마을주민을 추적 조사하여 이들의 생활환경 변화와 공동체문화의 흔적을 기록·수집하였다.
내가 살던 고향, 세종시의 옛 모습은?
‘제1부_고향(故鄕)-대대로 살아오다’에서는 고대부터 2005년 첫 번째 조사 시점까지 세종시 전통문화의 모습을 소개한다. 세종시 건설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2005년에 국립민속박물관이 민속조사를 통해 발굴한 역사와 전통문화 관련 자료들을 소개한다. 마을 수구(水口) 정비와 식목(植木) 활동이 담긴 ????반곡식목서(盤谷植木序)????(1794년), 금강 유역의 자연경관을 노래한 「태양십이경(太陽十二景)」(20세기 초), 마을의 평안을 지켜주었던 ‘갈운리 할머니미륵’, 여러 대를 이어온 ‘터주단지’와 ‘삼신전대’ 등의 가신(家神)을 통해 역사적 시간의 층이 쌓인 이 지역의 모습을 전시한다.
‘제1부_고향(故鄕)-대대로 살아오다’에서는 고대부터 2005년 첫 번째 조사 시점까지 세종시 전통문화의 모습을 소개한다. 세종시 건설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2005년에 국립민속박물관이 민속조사를 통해 발굴한 역사와 전통문화 관련 자료들을 소개한다. 마을 수구(水口) 정비와 식목(植木) 활동이 담긴 ????반곡식목서(盤谷植木序)????(1794년), 금강 유역의 자연경관을 노래한 「태양십이경(太陽十二景)」(20세기 초), 마을의 평안을 지켜주었던 ‘갈운리 할머니미륵’, 여러 대를 이어온 ‘터주단지’와 ‘삼신전대’ 등의 가신(家神)을 통해 역사적 시간의 층이 쌓인 이 지역의 모습을 전시한다.
산 사람, 죽은 사람 모두 고향을 떠나다
‘제2부_이향離鄕-흩어지다’에서는 2005년 이후 마을주민들이 보상을 받고 마을을 떠나 타지로 이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국토의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를 위해 추진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최초 계획인 ‘백지계획’(1977년)에서부터 시작된 역사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보여주는 실물 자료인 『백지계획』과 ‘백지계획 모형`이 전시된다. 또한, 2004년 신행정수도 결정 이후 이곳에 살던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가 정든 땅을 떠나는 아픔을 겪게 되는데, 헐린 마을회관의 간판과 가옥의 명패, 3만 여 기(基)의 묘지 중 이장(移葬) 과정에서 출토된 ‘부안임씨 명기’와 ‘진양하씨 묘지(墓誌)’ 등이 2부에서 소개된다.
건설된 세종시에 다시 돌아오다
‘제3부_회향回鄕-다시 모이다’에서는 2012년 세종시의 출범과 첫마을아파트 입주 등 새로 건설된 세종시에 원주민들이 돌아와 도시인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그렸다.
마을에서 농사를 짓고 살던 사람들은 이제 새로운 직업을 구해야 하고, 고향과 이웃을 떠나 신도시 아파트에서 낯선 이들과 살아가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그러나 옛 마을의 이름을 새로운 터전의 지명이나 학교명으로 남기려 하거나, 농사일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며 작은 텃밭을 일구기도 한다. 또한, 고향 집에서 떼어 온 상량문(上樑文), 몇 대를 이어온 쌀바가지, 흔적 없이 사라진 고향 집 마루를 배경으로 찍은 ‘가족사진’ 등 고향을 상징하는 물건들을 간직하며 살아간다. 특히 양화리 가학동 주민들은 1년마다 옛 동산에 모여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이처럼 3부에서는 고향을 품고 살아가는 현재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들과 함께 특별히 마을잔치에서 임의수 씨의 팔순잔치를 열어 끈끈한 정을 나누는 장면을 담은 영상을 선보인다. 가슴 뭉클한 만남의 모습을 통해서 관람객들은 “우리에게 과연 ‘고향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제2부_이향離鄕-흩어지다’에서는 2005년 이후 마을주민들이 보상을 받고 마을을 떠나 타지로 이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국토의 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를 위해 추진한 행정중심복합도시는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최초 계획인 ‘백지계획’(1977년)에서부터 시작된 역사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보여주는 실물 자료인 『백지계획』과 ‘백지계획 모형`이 전시된다. 또한, 2004년 신행정수도 결정 이후 이곳에 살던 사람과 죽은 사람 모두가 정든 땅을 떠나는 아픔을 겪게 되는데, 헐린 마을회관의 간판과 가옥의 명패, 3만 여 기(基)의 묘지 중 이장(移葬) 과정에서 출토된 ‘부안임씨 명기’와 ‘진양하씨 묘지(墓誌)’ 등이 2부에서 소개된다.
건설된 세종시에 다시 돌아오다
‘제3부_회향回鄕-다시 모이다’에서는 2012년 세종시의 출범과 첫마을아파트 입주 등 새로 건설된 세종시에 원주민들이 돌아와 도시인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그렸다.
마을에서 농사를 짓고 살던 사람들은 이제 새로운 직업을 구해야 하고, 고향과 이웃을 떠나 신도시 아파트에서 낯선 이들과 살아가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가기도 한다. 그러나 옛 마을의 이름을 새로운 터전의 지명이나 학교명으로 남기려 하거나, 농사일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며 작은 텃밭을 일구기도 한다. 또한, 고향 집에서 떼어 온 상량문(上樑文), 몇 대를 이어온 쌀바가지, 흔적 없이 사라진 고향 집 마루를 배경으로 찍은 ‘가족사진’ 등 고향을 상징하는 물건들을 간직하며 살아간다. 특히 양화리 가학동 주민들은 1년마다 옛 동산에 모여 만남을 이어오고 있다. 이처럼 3부에서는 고향을 품고 살아가는 현재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들과 함께 특별히 마을잔치에서 임의수 씨의 팔순잔치를 열어 끈끈한 정을 나누는 장면을 담은 영상을 선보인다. 가슴 뭉클한 만남의 모습을 통해서 관람객들은 “우리에게 과연 ‘고향은’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특별전은 2005년과 2015년 두 차례의 민속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기획되었는데, 전시 기획자가 두 차례 모두 민속조사에 참여하였고, 직접 경험한 내용을 전시를 풀어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속담이 실감 날 만큼 세종시의 2005년과 2015년의 모습은 많이 달라졌다. 10년의 시간을 아우르는 이번 전시에서는 변화 속에서도 오랜 전통이 면면히 흐르는 세종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속담이 실감 날 만큼 세종시의 2005년과 2015년의 모습은 많이 달라졌다. 10년의 시간을 아우르는 이번 전시에서는 변화 속에서도 오랜 전통이 면면히 흐르는 세종시의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이 특별전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의 전시 종료 후에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으로 자리를 옮겨 2016년 11월 8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원출처 : http://www.nfm.go.kr/Display/disIng_view.nfm?seq=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