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2026년) 유치

  • Post category:뉴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개최국으로 최종 선정… 2026년 7월, 부산에서 개최 예정   우리나라가 2026년 7월 개최 예정인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개최국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 중인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7.6.~7.16.)는 7월 15일…

부산 노후계획도시 정비 선도지구 5,700호 공모

  • Post category:공모전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는 7월 9일 부산 화명·금곡지구와 해운대지구의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선도지구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ㅇ 이는 지난해 1기 신도시 선도지구 3.6만호를 선정한 이후 추진하는 첫 선도지구 공모로, 본격적인 노후계획도시 정비 전국 확산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번 공모 접수는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 화명·금곡지구 2,500호, 해운대지구 3,200호, 총 5,700호 규모의 선도지구를 12월 선정할 계획이다.    *…

2026년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후보도시로 ‘부산’ 선정

  • Post category:뉴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7.15, 프랑스 파리)에서 48차 개최국 확정 예정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30일 오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후보도시 선정위원회를 열어 내년에 열리는 제4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개최 후보도시로 부산을 선정하였다.국가유산청은 지난 5월…

서울시 디자인동행, 본격적인 광역 확산에 나선다

  • Post category:뉴스

3.27.(목) 부산시와 협약 및 정책 교류 시작으로 디자인서울 도시 간 동행 본격 추진 축적된 디자인 자산과 역량 및 정책 공유, 디자인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 모색 두 도시 공동워크숍(3.27~28.), 전문가 및…

[한국도시설계학회 대구경북지회•로컬어바니즘연구위원회] Local Urbanism : 대구, 부산, 서울 그리고 중소도시 세미나 + 로컬 트립 개최

우리학회 대구경북지회(지회장: 최영은)와 로컬어바니즘연구위원회(위원장: 김준우)에서는 「'Local Urbanism : 대구, 부산, 서울 그리고 중소도시‘」라는 주제로 세미나 및 로컬 트립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 박태원대구경북지회장 최영은로컬어바니즘연구위원회 위원장 김준우 ■ 일시 : 2025년…

[한국도시설계학회 해안도시계획연구위원회] ‘부산의 항만재개발, 새로운 공공성을 모색하다.’ 세미나(12/5)

해안도시계획연구위원회(위원장 : 조필규 LH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에서는 아래와 같이 세미나를 개최하오니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일시 및 장소- 일시: 2024. 12. 5(목) 15:00 ~ 17:00- 장소: 부산항 컨벤션센터 회의실 10○ 프로그램   [주제]…

미래를 위한 도시재창조, 지역에서 답 찾는다

  • Post category:뉴스

「2024 도시재창조 한마당 × 부산도시재생박람회」 다채로운 프로그램 개최 정부의 도시공간 재창조 정책방향 및 지역의 도시재창조 전략·성과 공유 원출처 :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323

서울시·부산시 업무협약 체결… 대한민국 대표 두 도시간 협력강화로 도시경쟁력 강화

  • Post category:뉴스

오세훈 시장, 23일(금) 부산시청 방문…「서울시-부산시 우호교류강화 업무협약」체결 도시디자인, 관광 활성화, 스타트업 육성, 데이터 기반 행정, 정원문화 확산 등 주요내용 협약체결 후 부산시청 공무원 대상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주제로 오세훈 시장…

조선통신사선, 260년 만에 부산-시모노세키 평화의 뱃길 떠난다

  • Post category:뉴스

해신제(7.30, 부산) 시작으로 쓰시마-이키-시모노세키 30일간 항해(7.31.~8.29.)… 학술 토론회(8.23.)도 개최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김성배)는 2018년 전통선박 재현연구 사업의 하나로 제작한 ‘조선통신사선’으로 260년 만에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 간의 약 1,000㎞에 이르는 뱃길을 재현하고자,…

마지막입니다

더 이상 불러들일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