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ㆍ재건축사업 착수요건, 보다 합리화된다

  • Post category:뉴스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이 보다 합리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 제도도 개편한다. ㅇ 이를 위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서울시, ‘도시정비 기본계획’ 손본다… 재개발·재건축 규제철폐 실행력 확보

  • Post category:뉴스

「2030 서울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변경안 발표… 13일부터 공람 가능 1~2월 발표한 정비사업 분야 규제철폐안(3,6,35호) 및 先심의제 추진 근거 담아? (3호)높이규제지역 공공기여 완화, (6호)입체공원 용적률 인센티브, (35호)사업성 낮은 지역 역세권 준주거 종상향…

재건축·재개발 초기자금 융자 개시

  • Post category:뉴스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도시정비법”)에 따라 사업시행계획인가를 준비 중인 정비사업 조합에 초기자금을 융자한다. ㅇ 이번 초기자금 융자는 ‘주택공급 확대방안(’24.8.8)’의 후속조치로, 올해400억원의 예산이 신설된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구역별 건축 연면적에…

서울시 2025년 제2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 개최결과

  • Post category:뉴스

주택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 통합심의 통과…주거환경개선·주택공급 가속화① 신당제8구역 주택재개발: 인근 학교 교육환경 보호, 지형 순응형 입체적 단지계획② 여의도 대교아파트 재건축: 도시경관 개선, 공공체육시설 등 다양한 인프라 구축 원출처 :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429722

2025년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 및 제1차 수권소위원회 개최결과

  • Post category:뉴스

방학동 685번지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변경․경관심의(안)“수정가결”- 열악한 보행환경 및 도로체계 개선, 단지 내·외부 활력 부여- 노인일자리 지원시설, 청소년시설 등 주민과 함께하는 공공시설 조성- 북한산 조망 가능한 통경축…

서울시, 정비사업 심의 절차 개선… 사업 속도 높이고 도시 활력 도모

  • Post category:뉴스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변경도 통합심의를 적극 활용토록 절차 개선 정비계획 변경 별도심의 시 신속통합기획 자문방식 적용으로 빠른 추진 지원 서울시 “정비사업 활성화하면서 새로운 도시활력 도모 기대” 원출처 :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428721

수색8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통과…621세대 주택공급

  • Post category:뉴스

1.21.(화) 도시재정비위원회 '수색8구역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가결 총 621세대 주택 공급(기존 대비 43세대 추가, 공공주택 104세대 포함) 미래형 복합문화도서관 건립 및 사회복지시설 확충으로 행정 서비스 제고 원출처 :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427272

서울시, 2025년 제1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 개최결과

  • Post category:뉴스

새해 첫 통합심의로 신속한 사업지원…공공문화시설과 도심 휴게녹지 공간 조성① 방배신동아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 843세대 공급, 도서관 등 주민문화시설 확충② 양동구역 제11,12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업무중심 지역에 도심 녹지?휴게공간 확보 원출처 :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427009

1기 신도시 영구임대 재건축 본격 착수

  • Post category:뉴스

1기 신도시 내 노후화된 영구임대주택 정비로 주거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신규 공공주택 7.2천세대 추가 공급, ’32년부터 본격 입주 개시 원출처 :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548

마지막입니다

더 이상 불러들일 자료가 없습니다